본문 바로가기
생활상식

중국폐렴 국내 확산 중 증상 및 예방백신 치료법 알아 보기

by az아재 2023. 11. 12.

중국폐렴

최근 들어 기온 또 크게 떨어지고 일교차까지 심해지면서  중국에서 유행을 하고 있는 마이코플라스마폐렴, 일명 "중국폐렴"이 한국에도 확산 중이라고 합니다. 이글에서는 중국폐렴의 증상은 어떤 것인지, 예방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중국폐렴에 감염되었을 때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중국폐렴)이란?

 Mycoplasma pneumoniae 균이 비말의 의해 감염되어 발생되는 폐렴의 일종입니다. 비전형 폐렴 중에서도 발생 빈다고 가장 높다는 것이 특징이고, 잠복기는 2~3주로 다른 세균들에 비해 잠복기가 길게 특징입니다. 최근 질병관리청에서 표본검사를 진행한 결과 10월 29일부터 11월 4일까지 세균성 급성 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확인할 결과 96.6% 가 마이코프라스마 폐렴균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폐렴구균중국폐렴 바이러스

 

 

중국폐렴 증상? 

 

중국폐렴은 건강한 소아나 성인(5~25세)에게 많이  발생하는 폐렴으로  주로 심한 마른기침, 가래,  38도 이상의 고열, 가슴 통증이 나타나는데 증상이 보통 심한 편에 속한다고 합니다. 수포음 등의 정진기 소견으로는 잘 나타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폐렴 고위험군 환자는?

 

  1. 65세 이상의 사람
  2. 만성심장질환·만성호흡기질환·만성 간질환 ·만성콩밭병 ·암환자 ·당뇨병 ·인공 와우(달팽이관) 질환이 있는 분
  3. 누수 ·면역억제제투여 ·장기 및 조혈모세포 이식 ·무비증 등을 가지신 분 

 

 

폐렴 예방법

요즘 유행하는 중국폐렴 같은 경우 젊은 층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지만 고위험군에 속하는 환자들은 폐렴예방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폐렴에 걸리지 않기 위해 예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장 기본 중에 기본인 면역력을 높이기 위한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고위험군 같은 경우 예방백신 접종으로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외부 활동을 많이 한경우 한상 손을 깨끗이 씻어주시고 추워지더라도 적당한 운동과 균형 잡힌 식사 및 충분한 수면이 중요합니다. 
  4. 실내 온도는 25~28도, 습도는 40~50% 를 유지시켜 줍니다. 

 

 

폐렴 예방백신 접종대상 접종병원 알아보기 

폐렴구균 국가예방접종

폐렴 예방백신을 접종하는 것만으로도 65세 이상의 고령인들에게는 75%, 고위험군에 속하는 환자들에게는 65~84%의 예방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지금 까지 밝혀진 폐렴구균은 90여 종이 있으면 국내에서 사용하는 예방백신 예방효과를 가진다고 합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병원 알아보러 가기

 

65세 이상나이면 국가에서 무료로 예방접종을 할 수 있으면, 1958년생까지 무료접종 대상자에 해당합니다. 무료접종할 수 있는 병원을 확인해 보시고 예방접종 맞으시기 바랍니다. 

엑스레이 폐사진중국 만리장성폐건강

 

단백결합 백신(10가, 13가) 접종대상

19세 미만 소아 청소년

  • 생후 2개월부터 5세미만의 모든 소아
  • 5세 미만에 접종을 받지 않은 5세 이상의 고위험군중 60~71개월의 만성질환및 면역저하 상타의 소아, 면역저하, 무비증,최척수액누출, 인공와우이식상태에 있는 6~18세 소아 청소년

19세 이상 성인

  • 면역저하상태,무비증,최척수액누출,인공와우 이식환자

다당백신(23가) 접종대상 

  • 2세이상 고위험군인 소아청소년과 성인
  • 65세 이상의 노인 

 

단백결함 백신(10가, 13가) 접종시기

생후 2~59개월 소아: 생후 2,4,6, 개월에 3회 기초접종, 12~15개월에 1회 추가 접종

  • 생후 7개월 이후 접종을 시작할 경우 시작 연령 및 백신 종류에 따라 1~3회 접종
  • 10가와 13가 백산간의 교차접종은 권고하지 않음

다당백신(23가) 접종시기

  • 65세 이상 연령에서 1회 접종
  • 비장적출술, 면역억제치료, 인공와우이식술 등이 예정된 소아는 수술이나 치료시작 전 최수 2주 전까지는 단백결합백신또는 다당백신으로 접종완료
  •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면역기능저하 상태의 소어 청소년(2세 이상)
  • 65세 이전에 첫 번째 다당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이 65세 이상이 되었을 꼉우 첫 번째 다당 백신 접종으로부터 5년이 경과한 후 1회에 한하여재접종

 

 

폐렴구균 치료법은?

폐렴구군의 감염 부위와 항생제 내성여부를 고려하여 적절할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페니실린(항생제, 암피실린, 아목시실린)은 대부분 폐렴구균 감염 치료에 사용됩니다. 페니실린은 보통 경구 투여를 하지만 감염이 심각한 경우에는 정맥 주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 

 

페니실린 내성인 폐렴구균이 점점 흔해지고 있어, 세프트리악손, 세포탁심, 플루오로퀴놀론계(레보플록사신 등), 반코마이신, 레파뮬린 또는 오마다사이클린과 같은 다른 항생제들이 자주 사용됩니다. 

 

반코 마이신은 폐렴구균에 의해 유발되는 뇌수막염에 항상 효과 적인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뇌수막염 환자들에게는 보통 반코마이신뿐 아니라 세프트리악손 또는 세포탁심, 리팜핀, 또는 둘 다를 통시 투여 합니다. 

 

 

지금까지 중국에서 유행해서 우리나라로 번지고 있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즉 "중국폐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폐렴구균의 종류가 90여 가지가 넘기 때문에 고위험군이나 65세 이상의 고령의 나이를 가지신 분 같은 경우 예방백신을 접종하게 되면 폐렴구균 예방이 대략 70%는 된다고 하니 많이들 무료로 예방접종을 받아 나의 몸을 지키시기 바랍니다.